Surprise Me!

[다시 간다]‘라돈 침대’ 3년째 방치…전국에 11만 개

2021-11-09 1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매일 자는 침대에서 발암물질 '라돈'이 나와 충격을 줬던 '라돈 침대 사건' 기억하실 것입니다. <br> <br>사건이 발생한지 3년이 지났는데 문제가 된 침대와 침구류를 아직도 폐기하지 못하고 있습니다. <br> <br>어떻게 된 일인지, 다시 간다, 우현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시판된 침대에서 방사성 발암물질 라돈이 기준치 이상 검출된 건 지난 2018년 5월입니다. <br><br>당시 정부 원자력안전위원회는 문제가 된 침대와 침구류를 대량 수거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수거 제품들을 폐기하는 방법이 담긴 법령은, 두달전인 지난 9월에 시행됐습니다. <br><br>라돈 침대들을 다른 폐기물과 일정 비율로 섞어 태운 뒤 매립하라는 내용인데, 사건 발생에서 법령이 나오기까지 3년이 걸린 겁니다. <br> <br>그동안 해당 침대 회사의 충남 본사엔 폐기를 기다리는 7만개 이상의 매트리스가 그대로 쌓여 있었습니다. <br> <br>적치돼 있는 침대들옆으로 엄청난 양의 일반 쓰레기들이 함께 쌓여 있습니다. <br> <br>[이성진 / 환경보건시민센터 정책실장] <br>"5월에 방문해서 상황을 봤더니 (방수포에) 듬성듬성 구멍이 뚫린 부분이 있었죠. 야외에 적재해놓고 관리가 제대로 이뤄지지는 않고 있다고 봐요." <br> <br>이들 침대 7만개 등 11만4천개의 라돈 제품들이 전국 곳곳에 수거돼 쌓여 있습니다. <br> <br>그중 한 곳인 경기도 평택의 한 업체는 쌓아 놓았던 라돈 검출 침구류 2700 여 개를 지난해 11월 임의로 없애버렸습니다. <br> <br>어떤 방법으로 처리하라는 관계 법령이 마련되기도 전에, 무단 폐기한 건데 원자력안전위원회는 두달이 지나서야 이같은 사실을 알았고, 업체는 200만원의 과태료를 부과받았을 뿐입니다. <br><br>[원자력안전위원회 관계자] <br>"그 부분(폐기과정)은 알려드리기 어려울 것 같고요. 어쨌든 저희가 세부적으로 추적조사는 다 했다. 최종적으로 안전에 문제가 없음까지…" <br> <br>[이덕환 / 서강대 화학과 명예교수] <br>"원자력안전위원회가 방사성 문제가 있는 공산품의 안전관리를 현실적으로 담당할 행정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는…" <br> <br>법령 시행 두달이 지난 시점이지만, 수거된 제품들을 처리하겠다는 폐기 전문 업체는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[환경부 관계자] <br>"적정업체가 변경허가를 득하지 않고 있어서 현재까지 처리업체가 없는 겁니다. (폐기업체는 왜 신청 안 하는 거예요?) 지역 주민과의 갈등이라든지 우려하는 부분이 크다고 판단이 됩니다" <br> <br>라돈 제품을 쌓아놓고 있는 생산 업체들은 환경부 지침만 기다리고 있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[대진침대 관계자] <br>"(어떻게 폐기할 계획인 건지?) 계획은 잘 모르는데, 환경부 지침이 떨어져야…" <br> <br>[김영식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법안만 통과되면 안전하게 폐기하겠다 홍보했었습니다. 그렇지만 아직 폐기계획도 잡지 못하고 있다… 적절한 대책 마련하는 것이 필요해보입니다." <br> <br>라돈 침대 등이 3년 넘게 야적돼 있는 것에 대해, '안전엔 문제가 없다'는 것이 관계 기관들의 입장이긴 하지만, 이들에 대한 폐기 작업이 언제 이뤄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. <br> <br>'다시간다' 우현기입니다. <br><br>PD : 윤순용 <br>AD : 권용석 <br>작가 : 박정민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donga.com

Buy Now on CodeCanyon